눈부시게 빛나는 연휴를 보내며

2025. 10. 15by한도리

긴 연휴가 지났다.

 

몇 년 전부터 수많은 직장인이 손꼽아 기다렸다는 2025년 추석 연휴였다. 개천절인 10월 3일 금요일을 시작으로 10월 10일 하루만 휴가를 내면 열흘 가까이 내리 쉬는 꿈의 연휴에, 나 역시 유급 휴일을 조금은 즐기는 반쪽짜리 직장인일 줄은 미처 몰랐다. 모처럼 꿀맛 같은 휴일에 그간 밀린 일, 집 정리, 남은 한 해를 잘 보내고 미래를 준비할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거라 기대했다. 그러나 연휴는 생각과 달랐다. 다른 정도가 아니라 아예 정반대였다.

 

"연휴가 너무 길어요.", "연휴가 빨리 지나가면 좋겠어요.", "드디어 연휴가 끝났어요."

 

이제야 또 이해합니다, 선배님들의 마음을요. 아기를 어린이집에 들여보내고 일을 다시 시작한 게 불과 반년쯤인데, 어느새 엄마로 보내는 시간보다 그렇지 않은 시간이 더 긴 생활에 익숙해져 버렸다. 통근 거리가 꽤 먼 탓에 평일에는 아침에 최대 30분 정도 아기와 함께 시간을 보내고, 퇴근길에는 그를 영상통화로 만나는 게 고작이다. 주말에서야 엄마 노릇을 하는데, 이 어린이 요즘 하는 말과 행동이 꽤 귀여워서 같이 신나게 놀다 보면 반찬은 시판으로 때우기 일쑤다. 

 

그러니 오랜만에 맛보는 '찐' 육아가 어땠겠는가. 그야말로 매운맛, 죽을 맛이다. 밤이 되면 출근하는 날보다 더 녹초가 되어 다른 무엇도 할 수가 없고, 막 말을 배우기 시작하여 한창 신이 난 아기에게 장단을 맞춰주자니 목이 아파 자꾸만 기침이 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힘든 건, 돈 버는 일을 나가지 않는 동안 해둬야지 했던 다른 일을 대부분 포기해야만 했다는 사실. 현재를 위한 정리, 미래를 위한 준비를 하려 했지만 시간은 야속하게도 길이를 늘여주지 않았다. 

 

/

 

답답한 마음으로 연휴를 보내다 맞이한 주말, 고등학교 때 친하게 지내던 친구 여럿을 만났다. 사춘기를 함께 부대끼며 견딘 뒤로는 한동안 서로 연락을 주고받지 않았는데, 어느새 엄마가 되어 다시 만나게 되었다. 물론 이는 우리를 보이지 않게 계속해서 연결하고 있었던 한 친구의 덕분이다. 그의 새 집 마련을 축하하느라 모이는 자리였는데, 우리 집 어린이는 낯선 곳에 적응하기까지 투정을 부리며 웬일로 엄마의 목을 끌어안았다. 

 

처음이었다. 아기가 태어난 후 2년이 다 되어가는 동안, 이 녀석이 무언가를 무서워하거나 낯설어하여 내게 이 정도로 적극적으로 안겨온 적이 있었나? 쭈뼛대거나 울기는 했어도, 엄마를 찾으며 다가오기는 했어도 두 팔로 목을 감싸 안고 떨어지지 않겠다고 말한 건 적어도 내 기억에는 처음이다. 

 

어린이 넷과 어른 일곱이 모여 한바탕 시간을 보내고, 집에 돌아와 잠든 아기는 자극이 많았던 탓인지 자꾸만 깨어나 울었다. "아빠 아니야, 엄마야"라며 아기는 또 나를 찾았다. 꼭 안고 괜찮다고 속삭이자 이내 안정을 되찾고 "침대에 누워요"라고 속삭이는 어린이. 눕힌 뒤 자장가를 불러주고 잘 자라고 말하니 "잘 자"라고 다시 대답을 해온다. 문을 닫고 나오며 하얗고 동그란 빛이 내 마음에 가득하다는 걸 깨달았다.

 

/

 

이유를 정확히 알지는 못하겠다. 평소 엄마를 보지 못했기에 더 귀하게 느껴졌는지, 주양육자인 아빠보다 (부채감이든 신선함에서든) 더 신나게 놀아주려는 엄마가 마음에 들었는지, 그도 아니면 엄마를 찾고 싶어도 내가 늘 그 자리에 없었던 탓인지. 이유야 무엇이든 내가 아무것도 하지 못했다며 자책하던 시간에 아기는 엄마와 눈을 마주치고, 함께 놀고, 크게 웃었다. 연휴 동안 곧 2살이 되는 이 어린이가 가장 많이 쓴 단어 중 하나가 "같이", "다 같이"다. (물론 교통수단과 색깔을 의미하는 말은 제외하고 말이다.)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더 안정적이고 그럴듯한 자리를 찾기 위해 하려던 일들을 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였다. 어렴풋이 준비하던 일들을 제대로 해내지 못했다. 아마도 그걸 다시 하려면 1년은 더 기다려야 할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1년이 지나고, 10년이 지나도 다시 돌이킬 수 없는 시간을 가졌다. 이걸 또 이제야 깨닫는다. 마음이 한결 가벼워졌다.

 

엄마가 되고는 매 순간 선택의 갈림길에 서있다. 양쪽 모두 안개가 자욱하여 그 끝이 보이지는 않지만, 당장 눈앞의 장애물을 피하고 가장 가까운 이정표를 향해서 조금씩 나아간다. 그래, 잘했다, 나 자신. 오로지 지금만 할 수 있는 일을 했다. 더 깊이 사랑을 했다. 그걸로 되었다. 무엇이 되었든 최선을 다해 할 수 있는 만큼만 하고, 그저 행복해지자. 가족과 친구들과 더 많은 사람들과 밝은 빛을 나눌 수 있기를 바라.

한도리

N잡러

세 명이 한 가족, 섬에 살아요. "좋은 일 하시네요!"라는 말을 자주 듣는 업종에 종사하고 있어요. 주위를 둘러보며 걷기를 가장 좋아해요. 때로는 영화를, 소설을, 친구의 이야기를 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