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할 일이 없겠네."
티베트의 격언이자 어느 일본인 심리상담가의 책 제목이고, 사직동에서 오랜 시간 짜이를 팔고 있는 그 가게 앞 입간판에 적힌 글귀이기도 하다. 어느 영화의 "루이즈가 그러는데 어찌할 수 없는 상황에선 그저 마음 편히 먹고 흘러가게 두래."라는 대사를 읽고 이 문장이 떠올랐다. 어디선가 처음 이 글귀를 읽고는 속으로 '그야말로 지혜로운 말이로다. 내가 왜 이리 걱정을 한 아름 안고 사는가' 하였으나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어지면 걱정할 일이 없겠"다는 격언으로 걱정하지 않을 수만 있다면 애초에 그게 무슨 걱정이었겠는가.
최근에는 비교적 걱정이 줄었다. 아기가 신생아였던 당시만 해도 내 엄마의 별명인 '걱정여사'를 그대로 물려받는 건 아닐까 하였다. 아기가 잠을 자고 있을 때면 종종 숨은 잘 쉬고 있는가 들여다보는 한편, 모든 일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주위 사람들을 격렬하게 미워하곤 했다. 아기가 성장하며 걱정이 덜하다. 아기가 스스로를 돌보리라는 신뢰가 커져가는 만큼, 걱정의 크기는 줄어드는 것이다. 게다가 이 녀석이 하필 구석이나 매트 아래와 같이 청소를 덜한 곳을 굳이 찾아 먼지를 주워 먹는 걸 보면, 위생에 예민했던 몇 달 전의 나는 온 데 간데없다.
육아를 하고 있는 덕분에 그야말로 "오늘만 산다"는 하루하루를 보내니, 미래에 대한 두려움도 예전보다 덜하다. 도무지 걱정을 할 여유도 없다. 다만 문득 내년 이맘때, 10년 뒤, 30년 뒤의 내 모습을 생각하면 몹시 두렵다. 걱정의 빈도는 줄었지만 강도는 높아졌다. 과연 나는 언제까지 무슨 일을 하며 살 수 있을까? 지금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걱정을 한다고 해서 내게 주어진 시간이 늘어나는 것도 아니니, 오늘도 걱정을 이만 접어두고 내일의 육아를 위해 잠을 청해야겠다. 누구의 노랫말처럼 잠은 오지 않아도 기상 시간은 정해져 있으니까.
한도리
오늘의 기분: 즐거움
(출처: IMDb) <이터널 선샤인>은 앞으로도 잊을 수 없는 영화로 남을 거다. 내게 육아로 서서히 잃어가는 기억의 존재를 확인시켜 준 영화이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당신도 지우고 싶은 기억이 있는지, 만약 그렇다면 어떤 변화가 생길지, 운명 혹은 고집스러운 취향을 믿는지 …
나쁜 선택
영화 <비커밍 아스트리드>는 <내 이름은 삐삐 롱스타킹>으로 유명한 작가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영화는 아스트리드가 작가가 되기 전 겪은 굵직 사건들을 보여주는데, 여기서 그는 짜장면이냐 짬뽕이냐 같은 손만 뻗으면 닿는 선택들이 아니라 살면서 …
[프랑스의 소피] 너는, 나와 같지 않기를
드륵드륵, 분홍색 자전거 페달 위로 너의 반짝이는 두 다리가 힘차게 내려앉았다가, 살며시 물러나기를 반복한다. 작은 몸에 꼭 맞는 자전거, 그 위의 동그란 핸들엔 별처럼 반짝이는 너의 손이 야무지게 얹혀 있다. 바람은 머리칼을 흔들고, 그 사이로 나비처럼 가벼운 …
기획 노동을 아시나요? 보이는게 다가 아닙니다.
📍4줄 요약📍1. 기획노동의 존재를 인식해야 합니다. 2. 의사결정의 피로감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3. 배우자와의 협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4. 당사자가 돼봐야 보이는게 있습니다. 보이지 않는 그림자 노동, 기획 노동이 있습니다.저희 가족은 어렸을 때 부터 지금까지, 다같이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