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은 때때로 밀물처럼 쏟아지고, 또 썰물처럼 빠져나간다.
나는 그 물결 사이에서 흔들거리며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작은 섬과 같다.
몽생미셸(Mont-Saint-Michel)은 그런 나와 많이 닮았다. 세상과 단절된 듯하면서도, 또 묘하게 연결된,
외로운 섬.
파리에서 몇 시간을 달려 도착한 몽생미셸은, 사진보다도 훨씬 더 고요하고 웅장했다.
모래와 바다가 맞닿은 경계 그 위에, 오래된 돌 건물들이 겹겹이 쌓여 있었다.
몽생미셸은 8세기, 아브랑슈의 주교가 꿈속에서 천사 미카엘의 계시를 받은 후 세워진 수도원이다.
하루에 두 번씩 밀물과 썰물에 따라 육지와 단절되었다 다시 이어지는 이 신비한 섬은,
천 년 넘게 순례자들과 여행자들의 발길을 끌어왔다.
사람들은 그곳을 “기적의 섬”이라 부르지만,
나는 그곳에서 기적보다는 쓸쓸함을 견뎌낸 단단한 아름다움을 보았다.
사실 프랑스에서의 삶은 아직은 나에게 많이 낯설다.
불어는 아직 내 입에서 자유롭지 못하고, 말 대신 웃음으로 넘기는 순간들도 많다.
온통 프랑스인 들만 가득한 장소에 혼자 덩그러니 있었던 적도 있었고, 마켓 계산대 앞에서 말이 통하지 않아 쩔쩔맸던 날도 있다.
아직도 나는 내 삶의 중심에서 조금 벗어나 있는 느낌을 받곤 한다.
몽생미셸의 돌계단을 오르며, 그 뒤로 지는 태양을 바라보다 문득 생각했다.
세상과 떨어진 그 섬이, 그렇게나 많은 순례자들을 끌어들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들은 왜 외로운 섬을 찾아오는 걸까.
아마 그곳이 우리의 삶과 비슷하기 때문이 아닐까?
밀물로 고립되었다가도, 결국 썰물이 지나가면 다시 육지로 이어지는 것처럼,
오늘의 태양이 지면 내일의 태양이 다시 뜨는 것 처럼.
삶도 고립과 고난의 연속이 아니라, 기다림 뒤에 오는 아찔한 환희로 가득 차 있음을
그 섬은 묵묵히 보여주고 있다.
결국, 외로움은 나를 무너뜨리지 못했다.
내 삶은 완벽하지 않지만 인생은 미완성 그 자체로도 아름다울 수 있다.
투박하지만 단단한 몽생미셸 처럼, 앞으로도 나라는 사람을 단단하게 지탱 할수 있는 힘을 잃지 않기를
언젠가, 나 역시 누군가에게 기적처럼 고요한 섬이 되어 줄 수 있기를 조심스래 기도하며
나는 오늘도 천천히 내 몫의 계단을 올라가 본다.
프랑스의 소피
이메일 ㅣ ala.adj227@gmail.com
인스타 ㅣ @madame_jojo__
소피
프리랜서
글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는 것을 사랑하는 프랑스의 소피 입니다.
[프랑스의 소피] 너는, 나와 같지 않기를
드륵드륵, 분홍색 자전거 페달 위로 너의 반짝이는 두 다리가 힘차게 내려앉았다가, 살며시 물러나기를 반복한다. 작은 몸에 꼭 맞는 자전거, 그 위의 동그란 핸들엔 별처럼 반짝이는 너의 손이 야무지게 얹혀 있다. 바람은 머리칼을 흔들고, 그 사이로 나비처럼 가벼운 …
지나간 자리에 남겨진 것
2024년 겨울 세일이 한창이던 어느 화요일, 우리 집 님과 나는 쇼핑을 했다. 나는 쇼핑에 별로 취미가 없지만, 님은 쇼핑을 좋아한다. 열심히 벌었으니 재밌게 쓸 일도 있으면 했기에, 세일 마지막 날, 휴가 내고 같이 쇼핑을 가자고 제안했다. 님이 들뜬 얼굴로 운동복 몇 개를…
N과 S의 미용실
시간 거지에게 미용실과 치과는 동일 선상에 있다. 일년에 한 번이면 족한 연례행사. 우주선 모양의 기계가 머리칼을 아나콘다처럼 휘감는 동안 시선은 노트북에 고정. 자고로 미용실은 잡지 정독의 산실이건만 정작 잡지 발행인인 내겐 이번 달 별자리 운세를 볼 시간조차 허락되지 않는다. …
순수의 공소시효
"엄마! 이슬이 꽃을 씻겨주나 봐." 말간 얼굴을 바짝 들이민 아이가 종알종알 얘기한다. 호기심은 오직 맑은 영에 깃든다. 우리에게 시간을 거스를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것처럼 순수함에도 공소시효가 있을까. 나는 오직 아이만이 발견할 수 있는 세상의 아름다움이 존재한다고 믿는다. 기억의 …
행운도 불운도 아닌 전환점
나는 어렸을 때부터 불안이 높고 자기 영역이 확실했다. 기질 검사를 하면 위험회피는 97%고, 정서적 개방성이 극단으로 낮으며 거리 두기는 높게 나왔다. 한참 유행이었던 MBTI 검사에서는 내향형이 85%였다. 기질이나 성격 검사를 하면 중간인 항목이 별로 없어서인지 검사를 하지 않아도…